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DID 북촌

 어둠속의 대화 북촌은 글로벌 전시인 어둠속의 대화를 위한 문화공간이다. (시공간감을 바탕으로 한 건축에서) 시각을 차단하고 어둠 속에서 일상을 체험하는 전시는 당황스러운 경험이다. 하지만 시각을 철저히 차단하여 다른 감각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공간을 직접 보지 못하는 관람객들은 흥미롭게도 나름의 경험과 기억을 통해 각기 다른 공간을 재생해낸다.

 북촌에 위치한 대지는 오래 전 물길이었던 북촌로라는 큰 길에 면해있다. 상대적으로 좁고 긴 형태의 대지의 동서 고저차는 약 16미터에 달하고, 단단한 경질 암반이 대지 저변에 깔려있었다. 거대한 암실은 대지의 제약조건으로 인해 지하에 놓이지 못하고 자연스레 지상으로 올라오게 되었다.

 거대한 암실을 우회하는 외부계단은 대지의 남측 경계를 따라 수직정원을 형성한다. 옛 지형을 본떠 만든 산과 마른 계곡으로 이루어진 정원은 대지의 서측 가장 높은 석축에서 동측 가장 낮은 물길까지 이어진다. 계단은 위로 가면서 좁아지고, 아래로 내려 오면서 넓어지는 한편, 자연과 가까워질수록 거칠어지고, 도시와 가까워질수록 매끄럽게 만들어, 어둠속의 대화를 통해 일깨운 감각을 건축의 질감을 통해 더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전통 스크린 발에서 착안한 외피는 북촌이라는 장소와 어둠속의 대화의 매개체이다. 대나무 발의 형상을 본 떠 워터젯으로 자른 발 가닥은 아세탈 구슬로 한 땀씩 꿰고 엮어 1층에 9채씩, 3층에 27채를 엇갈려 걸었다. 수공예적으로 한 땀식 엮은 발이 느리게 소통하는 전시와 닮아있듯, 발은 빛을 조절하는 스크린이자 시선을 적절히 차단하는 블라인드로 시각이라는 감각을 차단하는 어둠속의 대화를 상징한다.


Dialogue in the Dark Bukchon


 Dialogue in the Dark Bukchon is designed for a worldwide exhibition, Dialogue in the Dark. The exhibition in which a visitor experiences everyday life in the complete darkness is an unusual experience. However, as it turns off sense of sight, it turns on other senses. When it ends, each visitor recalls different spaces through its own experiences and memories.

 Site is located in traditional Hanok village Bukchon and faced Bukchon-ro which used to be a waterway/stream. Although the exhibition needs a large dark room, it is unease to place it underground due to the 16m level difference and the rock bed. Naturally it is placed over ground.

 The exterior stairway (alongside the floating dark room) along the south boundary of the site floats over a vertical garden. The garden resembles old topography consisting of dry valley and tiny mountain linking old waterway/stream to the east and stone retaining wall to the west. The stair gets wider as coming down while it gets narrower as going up. Similarly, it gets tougher as close to nature while it gets smoother as close to city. It is intended that architecture enables visitors to expand sensual experience that is once opened up through the exhibition.

 Korean traditional screen, ‘Bal’ is a medium between traditional Hanok village Bukchon and Dialogue in the dark. Bamboo-sampled each slot of Bal is waterjet-cut and weaved with acetyl beads one after another. Each floor alternatively receives 9units thus 27 units throughout three floors. Bal as a screen admitting light and a blind controlling visual connection symbolize the identity of the exhibition as the handcrafting of the screen reflects the slow communication of the exhibition.


Pictureⓒ by Kim Yongkwan















Back to Top